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성 질병으로,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습니다. 특히 백신 접종률이 낮은 지역에서 유행 가능성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는데 최근 부산에서 5년 만에 홍역 환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입니다. 홍역 감염 시 증상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..
홍역의 감염 원인
홍역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나오는 비말을 들이마시거나 바이러스가 묻어있는 표면을 만진 후 손으로 눈, 코, 입을 만지는 경우 감염될 수 있습니다.
홍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증상이 나타나는 데까지 약 10~12일의 잠복기를 가지며 증상이 나타나기 4일 전부터 증상이 나타난 후 4일까지 전염성 가장 높습니다.
홍역의 증상
38°C 이상의 고열이 3~7일 동안 지속되며 건조하고 심한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. 콧물이 나거나 코가 막힐 수 있으며 눈이 충혈되고 눈물이 나거나 가려울 수 있습니다.
얼굴과 목에서 시작해 몸 전체로 퍼지는 홍반이 나타나는데 홍반은 일반적으로 3~4일 동안 지속됩니다. 입 안 점막에는 Koplik 반점이 나타나는데 홍역의 특징적인 증상입니다.
홍역의 치료법
홍역에 대한 특별한 치료법은 현재 없지만 해열제, 진통제, 기침약, 항염증제 등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.
홍역의 예방법
홍역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MMR 백신 접종을 하세요.(MMR 백신: 홍역, 볼거리, 풍진을 예방하는 백신)
손을 자주 씻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입과 코를 가리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세요.
홍역의 위험성
홍역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질병입니다. 합병증으로는 폐렴, 뇌염, 심근염 등이 있습니다.
특히 영양실조,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성인은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.
홍역은 예방이 가능한 질병이므로 예방 접종을 통해 홍역을 예방하고 개인위생에 좀 더 신경 써주세요..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치사율 30%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, 일본 비상 (0) | 2024.03.20 |
---|---|
서울 빅 5 병원 규모와 전문분야 비교 (0) | 2024.03.02 |
당뇨와 식탁 위의 조화: 도움이 되는 5가지 음식 (2) | 2023.12.31 |
홍역 급증, 면역력 떨어지면 걸리기 쉬워 (0) | 2023.12.13 |
빈대 퇴치방법 (0) | 2023.11.0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