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건강정보

치사율 30%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, 일본 비상

by ţţ 2024. 3. 20.
반응형

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(STSS)A군 연쇄상구균(GAS)이라는 박테리아가 일으키는 심각한 급성 질환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률이 30% 이상으로 매우 위험해 주의가 요구됩니다.

 

STSS의 원인

A군 연쇄상구균(GAS)은 피부, 인후, 항문 주변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박테리아입니다.

대부분의 경우는 무해하지만, 면역력이 약하거나 상처가 있는 경우 침습하여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 드물게. 발생하지만, GAS가 혈액에 들어가 독소를 생성하면 STSS가 발생합니다.

 

흔히 감염되는 부위: 인후(인후통), 피부(상처, 농가진), (폐렴)

 

STSS의 증상

  • 갑작스럽고 심한 고열(38°C 이상)
  • 오한, 발진, 햇볕에 탄 것 같은 피부 발적
  • 빠른 호흡, 혈압 저하, 의식 저하
  • 구토, 설사, 근육통
  • 감염 부위의 통증, 붓기

 

STSS의 위험 대상

  • 면역력이 약한 사람: 영유아, 노약자, 당뇨병 환자, 암 환자, 스플레인 절제술 환자
  • 상처가 있는 사람: 수술 후 상처, 화상, 농가진
  • 최근 A군 연쇄상구균 감염을 경험한 사람

 

STSS의 진단

  • 혈액 검사: 백혈구 수, 혈소판 수, 혈압, 젖산 수치 등을 확인
  • 배양 검사: 혈액, 인후, 상처 분비물 등에서 A군 연쇄상구균을 확인
  • 흉부 X-ray: 폐렴 확인
  • CT 또는 MRI: 괴사 확인

 

STSS의 치료

  • 항생제: 정맥 투여를 통해 A군 연쇄상구균을 제거
  • 면역글로불린: 면역력을 높여 쇼크 증상을 완화
  • 수액 제거: 괴사된 조직을 제거
  • 혈액 투여: 혈압을 유지
  • 호흡기 지원: 인공호흡기 사용 등

 

STSS의 예방

  • 손 씻기: 자주 손을 씻어 A군 연쇄상구균의 전파를 막을 수 있습니다.
  • 상처 관리: 상처를 깨끗하게 유지하고, 붕대로 덮어줍니다.
  • 면역력 강화: 충분한 수면, 균형 잡힌 식단, 규칙적인 운동
  • 만성 질환 관리: 당뇨병, 암 등 만성 질환을 잘 관리합니다.
  • A군 연쇄상구균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방문

 

 

STSS는 치료가 늦어질수록 치사율이 높아지는 질병입니다. 따라서 위에 언급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.

반응형

댓글